치마 속
치마속 궁금한가 모두들 헤벌레레
마침내 보듬었다 챙피를 무릅쓰고
속쟁이 풀어 헤치니 검불속엔 꽃장미
치마 / 문정희
벌써 남자들은
그곳에 심상치 않은 것이 있음을 안다
치마 속에 확실히 무언가 있기는 있다
가만두면 사라지는 달을 감추고
뜨겁게 불어오는 회오리 같은 것
대리석 두 기둥으로 받쳐 든 신전에
어쩌면 신이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 은밀한 곳에서 일어나는
흥망의 비밀이 궁금하여
남자들은 평생
신전 주위를 맴도는 관광객이다
굳이 아니라면
신의 후손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들은 자꾸 족보를 확인하고
후계자를 만들려고 애쓴다
치마 속에 확실히 무언가 있다
여자들이
감춘 바다가 있을지도 모른다
참혹하게 아름다운 갯벌이 있고
꿈꾸는 조개들이 살고 있는 바다
한번 들어가면
영원히 죽는 허무한 동굴?
놀라운 것은
그 힘은 벗었을 때
더욱 눈부시다는 것이다
△ 문정희(文貞姬,, 1947~ 전남 보성)
동국대 국문과 학사/석사,
서울여대 문학박사. 동국대 고려대 교수 역임.
1969년 <월간문학 신인상 당선으로 시인 등단.
진명여고 재학시절에 펴 낸 첫시집<꽃숨> 이후
많은 시집 및 수필집 발간. 현대문학상 소월시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동국문학상 천상병문학상 등 수상
팬티 / 임보
- 문정희 시인의 '치마'를 읽다가 -
그렇구나
여자들의 치마 속에 감춰진
대리석 기둥의 그 은밀한 신전,
남자들은 황홀한 밀교의 광신도들처럼
그 주변을 맴돌며 한 평생 참배의
기회를 엿본다.
여자들이 가꾸는 풍요한 갯벌의 궁전,
그 남성 금지구역에 함부로 들어갔다
붙들리면 옷이 다 벗겨진 채 무릎이
꿇려 천 번의 경배를 해야만 한다.
그러나ㅡ, 그런 곤욕이 무슨 소용이리
때가 되면 목숨을 걸고
모천으로 기어오르는 연어들처럼
남자들도 그들이 태어났던 모천의
성지를 찾아 때가 되면 밤마다 깃발을
세우고 순교를 꿈꾼다.
그러나, 여자들이여, 상상해 보라
참배객이 끊긴, 닫힌 신전의 문은
얼마나 적막한가?
그 깊고도 오묘한 문을 여는
신비의 열쇠를 남자들이 지녔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보라
그 소중한 열쇠를 혹 잃어버릴까 봐
단단히 감싸고 있는 저 탱탱한
남자들의 팬티를 !
△ 임 보(본명 姜洪基, 1940~ 전남 순천)
서울대 문리대 국문학과 졸업. 성균관대 문학박사.
충북대 국문과 교수 역임. 1962년 <현대문학> 추천으로 시인 등단.
1974년 첫시집 <임보의 시들> 이후 2011년 <눈부신 귀향> 등
14권의 시집 및 많은 동인지와 시론집 펴냄.
필명 임보(林步)는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 랭보에서 따온 것이라 함.
▲위 두 시인의 성비(性比)를 읽고나서...
무서운 샘/ 동탄 임성택
영원한 아궁이
모성으로 돌아만 가고픈 고향
거긴 다시는 돌아 갈 수도 없는 곳
그 바로
신성(神聖)시 돼 있는 미로(迷路)다.
때론 양자 간 이질의 시험대
너무나 매력적인 곳임에도
교합(交合)은 훌륭하지만
무섭기도 하고 너무나 숭엄한 곳
음양(陰陽) 양측 간에
자존의 저울대그림자도 없이
부끄러운 죄(罪)는 왜 만들어 놨는지
아마도
그리움을 잉태하고 봇물 치는
우리네의 사랑시
그 탄생의 원천이 아니겠는가
여튼 간
창조주가 얄밉게 만든 골짜기다.
에로틱한 묘미(妙味)도 있지만
자연의 순리인 사명
종족 본능을 갈구한 사회
때론 그 정조의 거역을 허물어
달콤한 맛에 살아가겠지 만도..,
인간탈 양면에 엔조이를 다루고
답습된 종족 보호본능
그 욕망 세력의 그늘서
애매모호 하게도
지구촌 범죄물 살인과 전쟁은
그래서 끊임없이들 일어난다.
소중히 다뤄 보듬을 탄력 있지만
끝까지 보호의 등짐도 져야 할 개척의무
절대로 보잘 것 없는 짓거린 아니다
다루기가 민감하고 까다롭지만
예민한 그 보물은
소중하게 다뤄줘야 할 사랑의 샘이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가 오면 그대가 그립습니다 (0) | 2020.05.11 |
---|---|
그리움이 또다시 (0) | 2020.05.10 |
사랑하는 가슴들은 (0) | 2020.05.10 |
쓸쓸한 위안 (0) | 2020.05.10 |
비가 내리는 날이면 (0) | 2020.05.09 |